통영의 매력을 보고, 즐기다.
통영의 매력을 보고, 즐기다.
세병관은 통제영의 객사(客舍)로 제6대 통제사 이경준(李慶濬)이 이 곳에 통제영을 옮겨 온 이듬해인 1605년에 처음 세웠다. 제35대 통제사 김응해(金應海)가 1646년에 규모를 크게 하여 다시 지었으며, 제194대 통제사 채동건(蔡東健)이 1872년에 다시 고쳐 지은 것이다. 정면 9칸, 측면 5칸의 9량구조 단층 팔작집으로 경복궁 경회루․여수 진남관과 더불어 지금 남아 있는 조선시대 건축물 가운데 바닥면적이 가장 넓은 건물 중 하나이다. 장대석 기단, 50개의 민흘림 기둥, 2익공 양식에 벽체나 창호도 없이 통칸으로 트여 있으며, 질박하면서도 웅장한 위용이 통제영의 기상을 잘 나타내고 있다. 건물은 전체적으로 우물마루에 연등천장을 시설한 것이나, 안쪽의 중앙 3칸만은 한 단을 올려 전패단(殿牌壇)을 만들고 상부를 소란반자로 꾸민 후 3면에 분합문을 두어 위계를 달리하였다. 세병이란 만하세병(挽河洗兵)에서 따 온 말로 ‘은하수를 끌어...
세병관은 통제영의 객사(客舍)로 제6대 통제사 이경준(李慶濬)이 이 곳에 통제영을 옮겨 온 이듬해인 1605년에 처음 세웠다. 제35대 통제사 김응해(金應海)가 1646년에 규모를 크게 하여 다시 지었으며, 제194대 통제사 채동건(蔡東健)이 1872년에 다시 고쳐 지은 것이다. 정면 9칸, 측면 5칸의 9량구조 단층 팔작집으로 경복궁 경회루․여수 진남관과 더불어 지금 남아 있는 조선시대 건축물 가운데 바닥면적이 가장 넓은 건물 중 하나이다. 장대석 기단, 50개의 민흘림 기둥, 2익공 양식에 벽체나 창호도 없이 통칸으로 트여 있으며, 질박하면서도 웅장한 위용이 통제영의 기상을 잘 나타내고 있다. 건물은 전체적으로 우물마루에 연등천장을 시설한 것이나, 안쪽의 중앙 3칸만은 한 단을 올려 전패단(殿牌壇)을 만들고 상부를 소란반자로 꾸민 후 3면에 분합문을 두어 위계를 달리하였다. 세병이란 만하세병(挽河洗兵)에서 따 온 말로 ‘은하수를 끌어와 병기를 씻는다’는 뜻이며, <세병관(洗兵館)>이라 크게 써서 걸어 놓은 현판은 제137대 통제사인 서유대(徐有大)가 쓴 글씨이다.
* 근접한 좌표의 경우 파란색으로 표시되며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근접한 좌표의 경우 파란색으로 표시되며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근접한 좌표의 경우 파란색으로 표시되며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근접한 좌표의 경우 파란색으로 표시되며 클릭하면 확대됩니다.